티스토리 뷰
웹 브라우저란?
● 인터넷 브라우저라고도 불리며, 웹 서버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고 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소프트 웨어입니다.
● 웹 브라우저는 HTML, CSS, Js파일을 전달받아 해석하게 되는데
정적인 페이지인 HTML,CSS,Js는 서버에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그대로 표시되지만,
동적 웹페이지는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브라우저가 실시간으로 내용을 생성하고 변경합니다.
웹의 동작 원리
①,②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URL을 입력합니다.
③
사용자가 입력한 URL주소 중에서 도메인 네임(Domain Name)부분을 DNS(Domain Name System)서버에서 검색합니다.
④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찾아 사용자가 입력한 URL정보와 함게 전달합니다.
⑤,⑥
웹 페이지 URL 정보와 전달받은 IP주소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요청메세지를 생성하고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메세지는해당 IP주소의 컴퓨터로 전송됩니다.
⑦
도착한 HTTP요청 메세지는 HTTP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URL정보로 변환됩니다.
⑧
웹 서버는 도착한 웹 페이지 URL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합니다.
⑨,⑩
검색된 웹 페이지는 다시 HTTP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응답메시지를 생성합니다.
⑪
HTTP 응답 메시지는 HTTP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됩니다.
⑫
변환된 웹페이지 데이터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됩니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구조
● 인터넷상의 리소스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인터넷 상의 주소.
프로토콜
- 서로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 시켜 놓은 통신 규약
●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웹에서 HTML로 작성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HTTP)
- HTTPS는 HTTP의 단점을 보완하고 안전한 통신을 위해 보안을 강화시킨 버전으로 SSL/TLS의 인증, 암호화 기능을 지원
호스트 주소
- 도메인 네임 또는 IP주소가 들어가는 곳 즉, 컴퓨터의 주소를 표시하는 영역
포트번호
-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수많은 프로세스들의 주소
- 위 웹툰 주소 같은 경우에는 포트번호가 보이지 않는데 기본적으로 포트번호를 입력하지 않았을 때에는
프로토콜이 가지고 있는 기본 포트 번호가 적용(HTTP=80, HTTPS=443 즉, 위 주소는 comic.naver.com:443)
계층적 파일 경로(리소스 경로)
- 서버 프로그램내에 짜인 로직으로 가는 영역
- 위 같은 경우는 webtoon이라는 경로 안에있는 list라는 경로라고 해석가능.
쿼리(query)
- url에서 추가적인 데이터를 표현할 때 사용
- 지정된 경로 다음에 ?를 기점으로 key=value 형태로 데이터를 표현.
- 표현할 데이터가 많다면 key=value&key=value형태로 이어갈 수있음.
DNS(Domain Name System)
● 문자형태의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로 된 IP주소로 매핑(Mapping)하는 시스템
● 도메인 네임(Domain Name)
- 도메인 네임은 숫자로 된 IP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
즉, DNS는 인터넷의 '주소록', '연락처'와 같은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됨.
'프로그래밍 기초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란? (0) | 2024.01.23 |
---|---|
웹서버란? (0) | 2024.01.18 |
자료구조[선택정렬(Selection Sort)] (1) | 2024.01.09 |
[자료구조] 삽입정렬(Insertion Sort) (0) | 2024.01.09 |
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란? (0) | 2023.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