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J53uE/btsCLqHJfFi/ZYiYe6a81q24mgCcgVS4iK/img.png)
KPT - Keep, Problem, Try 팀을 3개의 관점으로 나누면서 회고를 진행하고 꼼꼼하고 효율적으로 팀을 유지하고 발전할 수 있는 회고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지난 프로젝트 부분을 돌아보며 문제점, 좋았던점, 발전할 점들을 정리하고 정리했던 과정들을 보며 다음 프로젝트시 더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자유롭게 적어보고 나니 어떤점이 부족했는지 어떤점이 좋았는지 알수 있어서 팀의 발전을 야기 할수 있으면서 개인의 성장도 할수 있는 경험이 되었습니다. 지나가듯이 공부한 서버란? 서버는 컴퓨터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서버는 Server. 봉사자. 즉,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입니다. 우리의 노트북이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노트북도 서버가 될수 있습니다. 서버는 모니터가 없는 컴퓨터이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FH1CP/btsCr8A0Y8L/LFV5SN5ZGmIgKZQqC7VeH1/img.png)
전반적인 TO DO LIST의 기능에서 추가 하는기능까지 밖에 구현이 안된 상황에서 TO DO LIST는 삭제 기능이 있어야 했습니다. firebase의 database를 기반으로 추가 및 조회 기능을 구현한 상황이여서 다른 데이터 베이스 말고 firebase로 삭제 기능을 만들어 보자하여 구현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시도는 삭제하는것이 추가하는것과 비슷하다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기록하기 버튼을 누르면서 내용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이니 반대로 삭제하기 버튼을 누르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도록 하는 것을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일단 삭제버튼부터 구현하였습니다. let temp_html = ` ${goal} `; $('#goalsContainer').append(temp_html) 일단 각각의 div. 즉..